인권경영 비전체계
재단비전 | 따뜻한 복지지원, 든든한 권리보장, 행복한 예술인 | 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인권경영 비전 | 존중과 배려로 하나되는 KAWF 인권 문화 확산 | ||||||||||||
인권경영 목표 | 모두의 인권을 동등한 가치로 존중하는 재단 인권존중 문화 정착 및 확산 | ||||||||||||
중장기 추진계획 | 인권경영 도입기 (′19년) | 정착기 (′20~′22년) | 확산기 (′23~‘25년) | ||||||||||
인권경영 실행체계 도입 | 인권경영 체계구축 및 정착 | 인권경영 내재화 및 가치 확산 | |||||||||||
• 인권경영선언문 및 실행지침 제정 • 인권경영 체계 구축, 인권영향평가,구제절차 등 운영체계 수립 |
• 인권경영 실행체계 정비 • 사전예방 중심 인권리스크 관리 • 인권구제절차 정비 및 개선 • 인권존중문화 공감대 형성 및 내재화 |
• 인권경영 실행체계 고도화 • 인권존중문화 성숙 및 대내외 확산 • 환경변화에 따른 인권경영 시스템 개선 및 선순환 구조 마련 |
|||||||||||
주요 관리영역 | 인권보호 | 감정노동 | 갑질예방 (직장 괴롭힘) |
성희롱·성폭력 | |||||||||
단계별 추진방향 | 1단계 | 2단계 | 3단계 | 4단계 | |||||||||
인권경영 체계 구축 | 인권영향평가 실시 | 인권경영 실행과 공개 | 구제절차의 제공 | ||||||||||
추진전략 및 과제 | 인권경영 시스템 고도화 | 인권존중문화 정착 및 확산 | 인권침해 모니터링 및 성과관리 강화 |
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① 인권경영 제도 및 역할 강화 ② 인권침해 구제 고도화 및 홍보 활성화 |
③ 구성원 인권존중문화 내재화 ④ 대내외 인권경영 문화 확산 |
⑤ 인권영향평가 시행 ⑥ 인권관련 실태조사 실시 ⑦ ESG 관점의 인권보호 활동 전개 ⑧ 인권경영 개선과제 발굴·이행을 통한 환류 강화 |
|||||||||||||||
진단환류 | 인권의식/갑질/감정 노동 실태조사 |
인권영향평가 | 권고과제 이행현황 점검 |
인권경영위원회 | |||||||||||||
인권경영인프라 | 전담조직 |
|
|
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
실행 | 계획(Plan) | 실행(Do) | 모니터링(Check) | 피드백(Act) | |||||||||||||
• ‘인권경영 추진계획 수립 - 전년도 취약분야 개선 |
• 3대 추진전략 및 8대 추진과제 이행 |
• 인권경영위원회 • 인권영향평가 • 인권침해요소 점검 • 인권, 갑질, 감정노동 실태조사 실시 |
• 권고이행현황 개선 환류 • 인권영향평가 결과 개선과제 도출 - 차년도 인권경영계획 반영 |
||||||||||||||
인권경영위원회
ㅇ 인권경영위원회 목적 및 역할
- (목적) 인권경영 정책 실행 전반에 대한 의사결정 기구를 구성하여 운영
- (주요역할) 인권경영 추진에 관한 제도, 정책, 개선 등 필요한 사항 권고 및 인권영향평가 수행, 인권침해 행위 조사 및 구제 심의 등
ㅇ 인권경영 조직 구성 및 기능
인권경영 조직 구성 및 기능
- 인권경영위원회
-
- 인권경영위원장 : 대표이사
- 인권경영 담당부서
- 정책기획팀
- 인권경영책임관 : 경영본부장
- 인권경영위원 : 직원 대표, 외부 인권 전문가
- 인권경영위원장 : 대표이사
- 인권경영 실무그룹(인권영향평가 평가지표 담당부서)
-
- 기관운영 : 정책기획팀, 경영지원팀
- 주요사업 : 주요사업 지표 담당부서
- 인권경영 실천부서 - 인권리더
- 인권경영 실천부서 - 인권리더
- 인권경영 실천부서 - 인권리더
인권경영위원회 | 인권경영 담당부서 |
---|---|
• (구성) 임원, 외부전문가 등 7인 이내 • (운영) 필요시 수시 회의 • (역할) 인권경영 추진에 관한 제도, 정책 및 추진체계 정립, 인권침해 구제, 전략방향 의사결정 등 |
• (담당부서) 정책기획팀 • (구성) 정책기획팀장 및 인권경영 담당자 • (역할) 인권경영 추진계획, 인권교육, 인권경영 준수여부 및 평가, 인권 위반행위 접수·조사·처리 및 신고인 보호, 인권경영 개선방안 수립 등 인권경영 전담업무 수행 |
인권경영 실무그룹 | 인권경영 실천부서 |
• (구성) 기관운영, 주요사업 인권영향평가 담당부서 부서장 및 담당직원 5~8인 • (운영) 필요시 수시 회의 • (역할) 인권경영 실행, 인권이슈 내부진단, 인권영향평가 추진 및 환류이행 |
• (구성) 부서별 전 직원 • (운영) 필요시 수시회의 (분기별) • (역할) 경영 및 주요사업 내 인권경영 실행 및 추진, 조직 내 인권 현안 개선 방안논의 |
ㅇ인권경영위원회
ㅇ (기능) 임직원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인권보호 및 증진을 위한 주요 심의 의결 및 자문기구
ㅇ (역할) 재단 인권경영 추진에 관한 제도, 정책, 개선 등 필요한 사항 자문
및 인권영향평가 수행, 인권침해 행위 조사 및 구제 심의 등
ㅇ (구성) 총 7인 (외부 4인, 내부 3인)
구분 | 성명 | 소속 및 직위 | 임기기간 | |
---|---|---|---|---|
내부 | 인권경영위원장 | 박영정 |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대표이사 | 직위 재임기간 |
인권경영책임관 | 정 철 | 한국예술인복지재단 경영본부장 | ||
노측위원 | 윤정수 |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노동조합 위원장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노사협의회 의장 |
||
외부 | 위원 | 이오표 | 공인노무사, 성북구 노동권익센터 센터장 | ´21.12.23.~´23.12.23 (2년, 연임가능) |
위원 | 정윤선 | 시각예술가 | ||
위원 | 정희경 | 한국예술인복지재단 감사 메리츠자산운용(주) 수석 예술인 성폭력 피해지원 자문위원 |
||
위원 | 이윤미 | 국민권익위 청렴연수원 전문강사 |
ㅇ (운영) 정기회의 연2회 이상, 임시회의(필요 시 또는 재적위원 3분의 1이상 요구시)
ㅇ 추진시기
- 정기회의 : 연 1회 이상 / 임시회의: 필요시